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Dockerfile
- corsmiddleware
- 미니큐브
- RTCP
- 파이썬
- 자바스크립트
- JavaScript
- Docker Compose
- 도커
- minikube
- docstring
- Docker
- 표준출력
- 6.6.0
- 7.0.0
- kubernetes
- stash
- Python
- onicecandidate
- 명령어
- 위코드
- underscore
- 표준에러
- kurento
- 쿠버네티스
- 리눅스
- revert
- 독스트링
- 기초
- fastapi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네트워크 (1)
Devlog
인터넷 네트워크
인터넷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 두 개의 컴퓨터는 인터넷이라는 매체를 통해 서로의 데이터를 주고받는다. 서버 개발자로서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인터넷이 어떤 원리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지 핵심적인 개념을 되짚고 가보자. IP(Internet Protocol) IP는 인터넷상에서 각 네트워크 장치에 할당되는 고유 식별자이다. 소프트웨어에 의해 할당되고 변경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논리 주소이다. 만약 내가 어떤 서버에 요청을 보내게 되면 전달할 데이터 패킷을 출발지 IP 주소, 도착지 IP 주소와 그 외 메타데이터를 캡슐화하여 인터넷상으로 던지게 된다. 그러면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에 존재하는 노드들은 해당 정보들을 확인하고, 목적지를 향해 계속해서 전달한다. 목적지에 도착하면 서버는 요청 데이터를 확인한 뒤..
네트워크
2023. 2. 28. 23:28